본문 바로가기

한국영화 리뷰

영화 1987 출연 배우들의 영화같은 실제 비하인드 스토리

영화 '1987' 배경
1987년, 있어서는 안될 일이 발생합니다. 이제 막 서울대에 입학하여 꿈을 펼칠 나이의 청년이 치안본부 남영동 대공분실에서 조사를 받던 중 고문으로 인해 사망한 것인데요. 국가에서는 이를 그저 쉬쉬하며 덮기에 급급하고, 국민들은 진실을 원하고 외치며 죄를 지은 자에 대한 처벌과 공권력을 남용하고 독재하려는 사회 지도자 층이 바뀌길 원합니다. 영화 '1987'은 억울하게 죽음을 맞이했던 서울대생 박종철 열사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습니다.
 

영화 '1987'의 출연배우들

김윤석, 하정우, 유해진, 강동원, 김태리, 박희순, 설경구, 우현, 여진구 등.. 주연 조연에 특별출연까지 출연 배우들만 봐도 입이 다물어지지 않을 지경인데요. 지난 정권 때부터 제작에 들어간 영화라, 감독도 조마조마 하던 때에 탑배우인 강동원, 김윤석, 하정우가 출연을 결심했고 그에 고마워서 눈물을 흘렸다는 장준환 감독의 이야기도 유명하지요.

그런데 영화 '1987'의 출연 배우들의 실제 과거와 비하인드 스토리도 영화처럼 흥미진진합니다. 



배우 '우현' - 6월 항쟁 당시 연세대 총학생회 사회부장

1987 영화에서 경찰총수인 치안본부장 역할로 출연했던 배우 '우현'.

그는 6월 항쟁 당시에 연세대학교 총학생회 사회부장으로,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고 숨진 연세대학교 이한열 열사의 영정 사진 옆을 선두에 서서 지키고 있었습니다. 1987년 4월 13일 전두환 대통령이 호헌 조치를 발표했을 때, 연세대 학생들이 항의하는 의미로 머리를 깎았는데, 우현도 마찬가지로 이 때 삭발을 했다고 합니다. 

당시 이한열 열사의 사진과 함께 전경들 앞에 서있던 사진은 타임지에 실리기도 했습니다. 


배우 '문성근' - '문익환' 목사의 차남.

대통령의 오른팔로 등장했던 안기부장 역할의 배우 '문성근' 

문성근의 아버지는 '문익환' 목사로, 민주주의의 선구자이자 6월 항쟁을 이끈 최고 지도부입니다. 그리고 영화 1987에서 맨 마지막에 열사의 이름을 한명한명 불러주시던 분이 바로 '문익환' 목사입니다.


배우 '김윤석' - 박종철 열사의 고등학교 후배

대공처장 역할의 '김윤석'은 박종철 열사의 부산 혜광고등학교 2년 후배입니다. 

1987년 당시에 동의대학교에서 학생운동을 했으며, 그 때 당시에 '탁'치니 '억'하고 죽더라 라는 넌센스같은 대사는 신문 1면을 장식할 정도로 유명했었는데, 자신이 그 대사를 하게 될 줄은 몰랐다고 인터뷰했습니다.